약물이상반응(Adverse drug reaction)

약물이상반응은 약물을 정상적으로 사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발생한 의도하지 않은 유해한 반응으로, 해당 의약품과의 인과관계를 배제할 수 없는 경우로 정의합니다.1 약물이상반응의 가장 흔한 증상은 피부 증상으로, 이는 쉽게 인지되기 때문에 대부분의 약물이상반응은 약물을 중단함으로써 호전됩니다. 하지만 중증피부유해반응(Severe Cutaneous Adverse Reaction, SCAR)은 치명적이고 생명을 위협할 수도 있어, 초기에 감별하여 적절하게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중증피부유해반응(SCAR)

중증피부유해반응(SCAR)은 약물에 대한 면역계의 반응으로 투약 후 수일에서 수개월 후 나타나는 지연형 과민반응입니다. 마치 화상을 입은 것처럼 피부가 벗겨지는 스티븐스-존슨 증후군(Stevens-Johnson syndrome, SJS), 독성표피괴사용해(toxic epidermal necrolysis, TEN), 호산구 증가와 전신반응을 동반한 약발진(drug reaction with eosinophilia and systemic symptoms, DRESS), 그리고 전신에 농포가 생기는 급성 전신 발진성 농포증(acute generalized exanthematous pustulosis, AGEP)이 포함됩니다.2 중증피부유해반응은 사망률이 최대 40%로 매우 높고, 장기적인 후유증의 위험도 있어 환자의 삶의 질에 막대한 영향을 줍니다.3
DRESS 증후군의 경우 문헌에서 다양한 용어로 표현되며, 여기에는 약물과민반응증후군(drug hypersensitivity syndrome), 약물유발 과민반응증후군(drug-induced hypersensitivity syndrome, DiHS), 약물유발 지연성 다기관 과민반응증후군(drug-induced delayed multiorgan hypersensitivity syndrome) 등이 포함됩니다. 여기에서는 ‘DRESS’로 통일하여 기술하였습니다.1

참고문헌
1.Joint Task Force on Practice P, American Academy of Allergy A, Immunology, et al. Drug allergy: an updated practice parameter. Ann Allergy Asthma Immunol 2010; 105(4): 259-73.
2.Shim JS, Yun J, Kim MY, et al. The Presence of HLA-B75, DR13 Homozygosity, or DR14 Additionally Increases the Risk of Allopurinol-Induced Severe Cutaneous Adverse Reactions in HLA-B*58:01 Carriers. J Allergy Clin Immunol Pract 2019; 7(4): 1261-70.
3.Lin CW, Huang WI, Chao PH, Chen WW, Hsiao FY. Temporal trends and patterns in carbamazepine use, related severe cutaneous adverse reactions, and HLA-B*15:02 screening: A nationwide study. Epilepsia 2018; 59(12): 2325-39.